디지털화와 컨버전스가 진전되면서 휴대단말을 통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이용 니즈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니즈에 부응하고 서비스제공 사업자에게도 매력적인 BM을 제시하는 서비스 등장해 주목을 끌고 있다. 모바일SNS와 콘텐츠퍼블리셔를 접목한 ‘GotZapp’이 그것이다. Tag #GotZapp 모바일SNS 콘텐츠이동성 ContentsPortability 모바일콘텐츠 UGC UCC 콘텐츠퍼블리셔 Zirada 멀티미디어 BM Trivantis 저작권자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티클 전문보기
관련 아티클 [통계] 국내, 분야별 모바일 콘텐츠 시장규모 美, CP가 주도하는 콘텐츠 유통채널 「벨소리 자판기」 등장 번호이동성의 死角, 콘텐츠이동성도 필수 … Yahoo! Japan 사장 2004년도 일본 모바일 시장, M커머스 약진에 기대 日 Sony Pictures, 모바일 콘텐츠 사업에 진출 – "3G와 정액제를 기회로 활용" 영국, 소비자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무관심, usability 확보해야 日 대형 MCP 사이버드, MVNO 통한 이통시장 진입 검토 日 야후!, MNP시대의 Contents Portability 위한 무선 플랫폼 구축 So Much For The Mobility Premium In Music Downloads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규모 전망(05-10) KDDI, 음성 콘텐츠의 다운로드 서비스 'EZ 토크 콜렉션' 개시 日 KDDI의 미디어 비즈니스 전략,"통방융합으로 무선포털의 이용기회 확대" 미국 모바일 콘텐츠 시장 규모 전망 (2004-2008) 일본발 지상파 DMB `원세그`: i-mode의 성공을 재현할 것인가? 스마트폰 유저, 모바일콘텐츠 이용율도 높아 일본 모바일콘텐츠·모바일커머스 시장규모 (2002~2005) 日 모바일SNS 이용동향, 25%가 "동영상 업로드 기능" 희망 일본 인터넷 콘텐츠 비즈니스 시장규모(2001~2002) 무선인터넷 콘텐츠, "개인화 보다 주문형이 더 중요"... Compete 조사결과 Mobile 2.0시대를 대비한 日 KDDI의 또 다른 실험 : 모바일판 SNS 서비스 `EZ GREE` 모바일 스포츠 콘텐츠 인기 급상승, 2011년 38억불 시장규모 … Jupiter Vodafone 사장, "SNS, 모바일광고, 동영상으로 4년내 총매출의 10% 기대" 日, 모바일 SNS 서비스 폭발적 인기… 1주일만에 회원 10만명, 9개월에 200만명 돌파 日 DoCoMo도 휴대폰용 영화제작에 나선다… 카도가와 그룹과 자본제휴 日 모바일만화 시장, 독립계 사이트들 참여로 급성장중 日 도코모, 정액제 이후의 콘텐츠 전략 공개..."플랫폼 개방으로 시장확대 여지 더 남아있다" 인기몰이 중인 신생 비즈모델, 모바일 SNS의 진화방향 제시 … 英 `Pitch`와 日 `모바게타운` 日 mixi, 모바일 SNS 서비스 개시 3일만에 가입자 10만명 돌파 10대 유저의 SNS와 UCC 열풍, 3G 단말 보급에 힘입어 모바일 영역으로 빠르게 확산중... M:Metrics 일본 모바일콘텐츠 시장규모 추이 (2000~2004) 전세계 모바일 SNS 이용자수, 현5,000만에서 2011년 1억7천만으로 급증할 전망 日 모바일 동영상 시장의 소비자 동향과 사업기회... FrontMedia 사장 인터뷰 국내 모바일 콘텐츠 종류별 시장규모 (2004~2005) 日 모바일 SNS 급성장의 배경... PC에서의 상식 그대로를 휴대폰에 옮기는 BM 美, 미디어 기업들의 이통시장 참여 러시... 2007년 모바일동영상 서비스 각축전 예상 세계 모바일 SNS 서비스 이용자 수 전망 (2006~2011) 휴대폰의 진화 방향, 기능과 서비스를 유저가 직접 선택하는 시대로...日 Nikkei 일본 데이터 정액제 도입 현황과 파급효과 美 이통시장,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는 UCC 벨소리 인기... M:Metrics 조사 日 데이터 정액제 이용률, 2위 사업자 KDDI가 50.4%로 압도적 日 모바일 SNS 급성장, 하루 PV 2억 돌파... 모바게타운, mixi 등 인기 국내 모바일시장 제작·서비스 분야 업종별 비중 추이 (2004~2005) 모바일 UCC와 SNS, 10대 이용자 주도로 확산 통신-방송-미디어 컨버전스의 새로운 트렌드 `Contents Portability`, 최근 동향과 시사점 SNS와 TV의 모바일화 추세, "이통사 vs. 포털 미디어 플랫폼 경쟁 각오해야"... 美 inCode 모바일로 옮겨가는 Web2.0, 일본의 모바일 SNS 선행사례와 시사점 日 유무선연동 SNS `mixi` 인기 파죽지세...이용자 800만 돌파, 하루1만2천명 신규가입 日 최대 SNS `믹시`, 동영상 커뮤니케이션 기능 추가... 저작권 사후관리로 차별화 [3GSM] 웹2.0의 모바일화, 이통사 vs. 메이커의 새로운 갈등 노출 "DRM이 엔터테인먼트 시장성장의 최대 장애요인"…모바일 업계 한목소리 비난 국내 저작툴 분야 업종별 매출 규모 현황 (2005)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미디어 컨버전스, 아직은 걸림돌 많아 Cisco식 인수합병으로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News Corp의 웹2.0 미디어 전략과 향후 통방 컨버전스 시장의 향방 SNS와 구글맵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광고 솔루션, 日 DoCoYo! local 거실의 혁명을 노리는 애플TV, 300달러에 출시...iPod식 BM 만으로 성공낙관 힘들 듯 일본 모바일 콘텐츠 시장 규모 (2004) 美 MVNO Amp`d, 콘텐츠이동성 위해 Sling과 Orb 소프트 탑재된 스마트폰 출시 일본 모바일 콘텐츠 시장 규모 추이(2005~2010)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별 모바일 UCC와 SNS 이용률 현황 (2006.10) 콘텐츠 이동성에 주목, TV-휴대폰-PC를 잇는 `Three Screen` 전략 발표...美 AT&T Windows Vista 기반의 홈서버를 앞세운 MS의 홈엔터테인먼트 전략, 주요 내용과 파급효과 블로그와 커뮤니티를 접목한 모바일판 지식iN 사이트...日 niwango 경쟁을 통한 다이내미즘으로 급성장 중인 일본 `모바일 SNS` 시장…유저의 만족도는 85.7% 케이블·이통사 합작 QPS, `Pivot`의 킬러앱은 유무선간 ‘콘텐츠이동성’… 美 Comcast 회장 모바일2.0 시대의 유망 BM, 모바일 광고의 현 주소와 가능성 UGC와 광고 기반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BM에 관심 고조, 이통사와 수익분배…美 GotZapp 현대인의 `접속중독증`과 ‘전파욕구’를 모바일과 접목한 미니 블로그, Twitter 日 이통3사, 돈되는 콘텐츠 찾기에 혈안...통신료 보다는 콘텐츠 자체를 수익원으로 유무선연동 자기소개 서비스 ‘프로프’, 日10대들에 폭발적 인기...성공비결은 ‘편리성’ 일본 휴대폰 블로그 연령별 및 성별 이용현황(2006) 애플과 음반사 EMI의 DRM 해제 합의 발표, 배경과 전망 통신-미디어-엔터테인먼트 융합 시대, 경쟁력의 관건은 `콘텐츠 이동성`과 `Customer Experience` 日, 마이크로 블로그 `Twitter 풍`의 서비스 모델 속속 등장...모바일-블로그-SNS를 결합 소비자의 시각에서 재정의 될 FMC 2.0 : 키워드는 듀얼단말, 펨토셀, 그리고 콘텐츠이동성 IPTV 사업에서 VoD 비즈모델은 ‘필요악’...저작권 문제가 이용기반 확대의 최대 걸림돌 하루 4억 PV 돌파 日 ‘모바게타운’ 인기, 견인차는 창작 소설-음악 공유 커뮤니티 국내 모바일 콘텐츠 산업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2005~2006) 日 SNS 서비스 `mixi`, 이용자 1,000만명 돌파...모바일 대응이 견인차 日 KDDI, 전력선통신을 활용한 가정내 TPS 분배 서비스 런칭...모뎀임대료 월420엔 국내 모바일콘텐츠 산업 분야별 시장규모 추이 (2005~2006) 국내 디지털콘텐츠 솔루션 산업 시장규모 및 성장률 추이 (2002~2006) 국내 전자책 산업 시장규모 및 성장률 추이 (2002~2006) 日 NHK도 방송 콘텐츠를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분배키로, YouTube的 수요에 대응 일본시장에 진출해 고전중인 MySpace, 음악서비스 강화로 돌파 시도 미국 및 유럽 주요국의 모바일 콘텐츠 및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수 현황 (2007.2) 국내 지오텔의 사업부문별 매출 추이 (2005~2006) 모바게타운을 순식간에 제압한 `Kaocheki`라는 괴물, 한 달만에 회원 1,500만명 대체경로 통한 콘텐츠 다운로드 증가 추세, 역으로 편승하는 이통사 BM도 등장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 성장에 가장 영향력이 큰 서비스 조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