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IA2010 기조연설에서 美 WiMAX 사업자 Clearwire의 Bill Morrow 사장은 “IP 기반의 단일표준을 통해 전세계적인 로밍과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LTE와의 표준 경쟁을 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Tag #Clearwire WiMAX BM #WiMAX LTE 통합 #4G 표준경쟁 #4G 단일표준 #Beceem WiMAX 칩셋 #LTE WiMAX 듀얼모드칩 #WiMAX 가전 # 저작권자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티클 전문보기
관련 아티클 LTE와 WiMAX, “규격 통합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메이저 벤더들 [CTIA] WIMAX 의식한 LTE 진영, 조기 상용화 가능성 과시… WiMAX와 통합 주장에도 힘실려 “시차적 이점 보유한 WiMAX, LTE에 흡수 통합되기 보다 공존할 것”…美 Sprint CTO “WiMAX와 LTE는 80% 이상 동일한 기술, 통합 칩셋 개발 검토중”... 인텔 4G 이동통신 서비스 WiMAX와 LTE 비교 (2008) WiMAX-LTE 겸용칩, 내년부터 보급 시작…초기에는 USB, 넷북, MID에 적용될 듯 WiMAX와 LTE, 규모의 경제 효과는 공유할 수 있지만 양 기술의 혼용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WiMAX vs. LTE, 승자선택 게임 아니다…멀티모드 단말과 로밍으로 '단일표준' 중요성 줄어 인텔…WiMAX와 LTE, 액세스망은 물론 코어망도 통합가능성 있다 美 Clearwire 사장…“기술보다는 BM이 중요, LTE로의 전환도 대비하고 있다” [ITU 2009] 美 Clearwire 기자회견…"LTE는 과대포장, HSPA는 저무는 기술" 美 이통4사의 네트워크 현황과 4G 도입 계획 셀룰러 통신모뎀, 컨슈머 시장으로 확산중…5년후 휴대형 PC의 절반에 탑재될 전망 [인터뷰] WiMAX 포럼 의장…“LTE 대비 경쟁력 충분하다” [MWC] 칩업체 Beceem, LTE/WiMAX 듀얼모드칩 공개…FDD와 TDD 모두 지원 LTE와 WiMAX, 규격통합 가능성 재부상 WiMAX, 단일 BM으로는 사업성 여전히 불투명…LTE와 혼합모델로 활로 찾아야 4세대 이동통신 기술 LTE, 특징과 발전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