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G 이동통신 표준화단체인 NGMN이 지적재산권(IPR) 관리 프레임워크 개발에 나섬으로써 기존 모바일 표준들이 안고 있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ag #NGMN 4G #4G 특허 #LTE 특허 #LTE patent pool #특허풀 운영 # 저작권자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티클 전문보기
관련 아티클 전세계 메이저 이통사들, Post-3G 표준단체 NGMN 설립에 한목소리 ...`기존주파수 재사용`과 `투명한 IPR 체계` 세계 3대 표준화기구, 기존의 특허도 표준에 반영하는 정책근거 마련에 동참키로 로열티 둘러싼 Qualcomm-Nokia간 밥그릇 싸움, 4G 시대를 앞두고 퀄컴의 입지 불확실 기술 로얄티 예측 가능해 진다, 3G 이후부터는 미리 예고해야...NGNM 포럼에서 합의 RFID 컨소시엄, 특허 Pool 방식 도입키로…LG전자 등 7개사 참여 인텔과 삼성이 주도하는 새로운 이통기술 Patent Pool 시스템, 퀄컴의 입지 약화시킬 듯 메이저 장비벤더들, LTE 특허 라이센싱 표준 제정에 합의…10% 미만 수준 될 듯 범업계 LTE 로열티 협정, 퀄컴과 노텔이 빠져 임팩트 불투명…3G때와는 달라질 것은 확실 WCDMA 특허보유 기업들, 로열티 수준 66%까지 낮추기로 결정…메이저 3사 빠져 효과 반감 LTE 로열티 인하에 먹구름, 특허풀 도입 반대하는 Qualcomm에 Nortel도 동조 인텔-삼성 등 6개사, WiMAX 특허풀 운영위한 연합체 결성…퀄컴과 모토로라는 불참키로 Femto 포럼, 출범 1년만에 참여사 83개로 늘어…NGMN과도 4G 진화에 협력키로 4G 기술 로열티 구도에 돌발변수…美 ADC사, OFDMA 관련 핵심특허 보유 주장 LTE와 WiMAX 기술논쟁 뒤에 가려져 있는 IPR 문제, 판도라 상자될 수도 와이맥스 특허연맹 OPA, 필수기술 보유업체들에 특허등록을 공식 요청…평가기관도 선정 4G 시대의 IPR 환경, 3G와는 완전히 다르다…쌍방합의로는 부족 특허풀 방식도 도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