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를 구축 중이거나 도입 예정인 이통사는 2009년 1분기 현재 119개 社이며, 43개 사업자가 추가로 LTE 라이선스를 획득했거나 추진 중으로 총 162개 사업자가 LTE 네트워크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하지만 이통사별로 그 도입 시기나 방법 등에 상당한 시각차가 나타나고 있다. Tag #LTE 기술방식 #LTE BM #LTE 도입시기 #내용년수 #ROI 저작권자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티클 전문보기
관련 아티클 LTE에서 펨토셀은 필수, 망용량 확대에 따른 CAPEX 리스크 해소에 핵심적 역할 4G 음성서비스 구현기술 놓고 이통사들 입장 분열 조짐…”獨 T-Mobile, IMS로는 대응 늦어" 美 AT&T, LTE 도입전에 3G망을 7.2Mbps로 업그레이드…기지국 백홀은 광케이블로 교체 美 AT&T, 7.2Mbps급 HSPA로 업그레이드하고 펨토셀 시범…LTE 도입은 2011년으로 앞당겨 美 Verizon, LTE 도입일정 6개월 연기…4G 듀얼모드 단말 수급도 2012년 이후 가능할 전망 美 Verizon, LTE 요구사항에서 IPv6 지원을 필수로…“폭증하는 다양한 단말 수요에 대비해야” [해외시각] 모바일브로드밴드 기술 WiMAX-LTE-HSPA+ 경쟁…승자택일식 논란은 불필요, 고객기대 충족하면 모두가 승자될 수도 네트워크 공유, 4G에서는 대세적 흐름…이통업계에서도 경쟁의 축이 설비기반에서 서비스/플랫폼 기반으로 이동중 인텔…WiMAX와 LTE, 액세스망은 물론 코어망도 통합가능성 있다 LTE, 도입예정 사업자수에서 모바일 WiMAX를 곧 따라잡을 듯 LTE 기지국당 백홀 소요 대역폭은 300Mbps~1Gbps급, 용량 자체보다는 유연성이 더 중요 일본 이통3사, LTE를 포함한 망진화 계획 발표…각 사의 전략분석과 국내 시사점 [해외시각] 2025년 이통시장 전망: 모빌리티의 진화, 네트워크와 단말의 상호접속과 연계를 통해 삶의 방식을 변화 LTE 망에서의 음성과 SMS 지원, 구현방안 제각각…표준화 늦어질 가능성 높아 LTE 데이터속도 실제보다 과장, 신중론 등장…보다폰은 2012년 이후로 도입일정 연기 KT와 방통위, LTE와 관련한 심상찮은 행보로 WiBro업계 긴장…배경과 국내에서의 4G 전개방향 日 도코모, LTE 킬러앱으로 동영상을 지목…“3G때와 달리 조기도입시 호환성 문제는 없을 것” 日 이통4사, LTE 망구축에 총118억달러 투자…1.5GHz와 1.7GHz 대역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