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휴대전화 시장의 패러다임에 일대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KDDI를 시작으로 DoCoMo로 까지 파급된 "데이터 정액제"가 그 계기이다. 이로써 가입자와 트래픽 증가를 기반으로 한 이통사의 수익모델에 대대적인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Tag #데이터 정액제 NTT KDDI TD-CDMA 3G IP T 저작권자 ©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티클 전문보기
관련 아티클 [통계] 국내 이통3사의 부문별 ARPU 증감추이 예상을 뒤엎은 KDDI의 결단 : 월4,200엔 정액제로 EV-DO 서비스 출발 정액제 모바일 IP 전화를 겨냥한 일본 ADSL 사업자의 TD-SCDMA 기술 선택 [해외시각] KDDI의 정액 요금제 출시에 따르는 파급효과와 해결과제 도코모, FOMA에 데이터정액제 도입 발표와 의미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20대 80 법칙 : 이를 전략적으로 응용한 KDDI와 DoCoMo의 사례 데이터 정액제 출범에 따른 이통사별 전략과 시사점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해외시각]휴대전화 시장에도 ADSL 쇼크가 재현될 것인가? 패킷정액제를 둘러싼 DoCoMo와 KDDI의 전략비교 : 트래픽 처리방식과 목표시장에서의 시각차 도코모와 KDDI의 패킷 정액제 차별화 포인트 비교